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웹스크래핑
- 데이터시각화
- 국비지원교육
- 코드스테이츠
- Ai
- 빅데이터
- 맥킨지
- 데이터사이언스
- 파이썬
- RA
- 컨설팅펌
- K-Digital Training
- 비전공자
- 디지털트레이닝
- 캐글
- PCA
- 코랩
- 웜업
- 컴퓨터공학
- 기계학습
- 로지스틱회귀분석
- t-test
- 부트캠프
- 인공지능
- 컨설팅
- BCG
- AI부트캠프
- 주성분분석
- 다중회귀분석
- 선형대수학
- Today
- Total
94년생 스피노자
[Week 4 - 프로젝트] 비디오 게임 분석 본문
코드스테이츠에서 각 Section의 마지막 주는 개인프로젝트가 이루어진다.
이번 Section 1의 개인프로젝트로는 비디오 게임 분석이 주어졌다.
상황설정은 게임회사에서 다음 분기에 발매할 게임을 기획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주어진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지역별로 선호하는 게임장르가 있는지 분석
- 연도별로 게임 트렌드가 있는지 분석
- 밀리언셀러 게임 분석
0. 데이터 소개
데이터는 코드스테이츠에서 마련한 자료라 공유할 수 없음을 밝힌다.
데이터에서 주어진 정보는 다음과 같다.
- 게임 제목
- 게임 구동기기 e.g. PlayStation
- 게임 출시년도
- 게임 장르
- 게임 배급사
- 북아메리카 판매량
- 유럽 판매량
- 일본 판매량
- 기타 지역 판매량
1. 분석 결과
Q1. 지역별로 선호하는 게임장르가 있는지 분석
아래서 활용한 발표자료는 맨 아래에 첨부하였으니 확인바란다.
이 문제에 답하기 위해 아래 2가지 툴을 활용하였다.
- ANOVA 분석
- Boxplot 시각화
우선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Boxplot을 먼저 그렸다.
그후 ANOVA 분석을 해보니 실제로 지역마다 선호하는 장르가 있다.
ANOVA 분석에 대한 코드는 '코드블록'을 확인바란다.
지역마다 정도의 차이를 명확히 하려면 수치적인 분석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여기서는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까지 알아볼 필요가 없어 진행하지 않았다.
지역마다 선호하는 장르의 게임 이미지를 모아보았다.
실제로 내가 갖고 있는 선입견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미국은 다른 나라보다 인구밀집도가 낮아 집에서만 놀아야한다.
그래서 음악, 스포츠, 그리고 시뮬레이션과 같은 일상적인 장르도 즐긴다.
유럽은 FPS의 강자라는 소리를 어디서 들었는데 이것마저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은 역시 넘사벽 게임인 포켓몬과 어드벤쳐 게임이 나타난다.
Q2. 연도별로 게임 트렌드가 있는지 분석
게임에는 분명 트렌드가 있다.
내가 인식하고 있는 한국의 게임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아케이드(크아BnB) -> 레이싱(카트라이더) -> FPS(서든어택) -> 전략(롤) -> FPS&전략(배틀그라운드)
기술적인 수준과 소비자의 욕구가 트렌드를 만들어 나간다.
그렇기에 트렌드에 맞춰 게임을 개발해야 성공할 것이다.
연도별 게임 트텐드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했다.
- 지역마다 게임 장르별 누적판매량 계산(cumsum 함수 활용)
- 지역마다 게임 구동기기별 누적판매량 계산
- Plotly 패키지를 통해 시각화
여기서 주의할 점은 앞에서 분석했던 지역별 선호장르와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는 점이다.
왜 그러냐면 세계적 트렌드가 액션 게임일 경우 지역별 선호장르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I. 북미 트렌드
i) 북미 게임 장르 트렌드
ii) 북미 게임 구동기기 트렌드
북미 지역에서 게임 구동기기를 살펴보면 최근 Xbox360이 압도적이다.
* 유럽 트렌드
i) 유럽 게임 장르 트렌드
유럽에서는 플랫폼 게임이 처음에 참 많이 팔렸었다.
북미와 비슷한 점은 최근에 슈팅 게임과 액션 게임이 흥행을 했다는 점이다.
ii) 유럽 게임 구동기기 트렌드
유럽에서도 북미와 마찬가지로 최근에 Xbox360이 급성장했다.
그럼에도 PlayStation이 꾸준이 잘 팔렸었기에 양강구도를 보인다.
* 일본 트렌드
i) 일본 게임 장르 트렌드
위 두 지역과 너무나 다른 트렌드를 보여준다.
롤플레잉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 두 대작을 알려주면 자연스레 수긍이 갈 것이다.
일본 롤플레잉계에서의 두 대작은 바로 포켓몬과 파이널 판타지다.
게임을 안하는 사람들도 이 두 게임에 대해서는 들어봤을 것이다.
넘사벽인 롤플레잉을 빼놓고 보면 액션 장르와 플랫폼 장르가 최근 급상승했다.
막상 어떤 게임이 대박을 쳤는지 보면 재밌는 결과가 나온다.
두 게임 모두 장르는 다르지만 별의 커비 게임이다.
일본에서는 게임의 특성보다 세계관과 캐릭터를 잘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ii) 일본 게임 구동기기 트렌드
구동기기 트렌드를 보면 일본은 참으로 구식에 머물러 있다.
과거에는 게임이 무척 잘 팔렸었다.
그에 비해 최근에는 너무나 저조한 성적을 보이고 있다.
Q3. 밀리언셀러 게임 분석
밀리언셀러에 대한 분석을 시각화하기 위해 히트맵을 활용했다.
노란색, 즉 밝고 연한 색일수록 판매가 많이 됐음을 의미한다.
북미에서는 Xbox360에서 구동되는 액션 게임이 가장 많이 팔렸다.
유럽에서는 닌텐도64에서 구동되는 플랫폼 게임이 많이 팔렸었고
최근에는 Xbox360에서 구동되는 스포츠 게임이 많이 팔렸다.
일본에서는 게임보이와 게임보이어드밴스에서 구동되는 롤플레잉 게임이 많이 팔렸다.
둘 다 매우 오래된 게임기기다.
최근에는 PlayStation 1에서 구동되는 롤플레잉 게임이 그나마 많이 팔렸다.
2. 결론
결론적으로는 북미 시장을 타겟으로 Xbox360에서 구동되는 액션 게임을 개발해야 한다.
그래야 밀리언셀러로 거듭날 확률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모두 행복하길
-끝-
'코드스테이츠 AI 부트캠프 > i) 데이터사이언스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 3 - Day 4] Clustering (0) | 2021.05.22 |
---|---|
[Week 3 - Day 3] Dimension Reduction (0) | 2021.05.21 |
[노트] 선형대수학 (Vector, Span & Rank) (0) | 2021.05.21 |
[Week 3 - Day 2] Intermediate Linear Algebra (0) | 2021.05.21 |
[Week 3 - Day 1] Vector/ Matrix (0) | 2021.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