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수신제가치국평천하만큼 내가 좋아하는 문장이다.
고3 때 수능을 보고 나서 느낀 기분이었다.
1. 문장의 뜻
이 문장은 두 가지 단계로 나뉜다.
- 진인사(盡人事): 사람의 일을 최선을 다해 한다.
- 대천명(待天命):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
2. 문장의 잘못된 해석
두 가지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의 비중이 너무 커지면 안된다.
두 단계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것이 이 문장의 핵심이다.
진인사(盡人事)에 집착하면 자연스레 자신의 노력을 높게 평가하게 된다.
그 결과 대천명(待天命)은 나의 노력에 부합하는 결과를 요구하는 것으로 변질된다.
하루에 10시간씩 일했으니(진인사) 내게 성공을 줄 것(대천명)이라고 믿어!
반면에 대천명(待天命)에 집착하면 모든 것은 주사위 놀음에 불과해진다.
이때 진인사(盡人事)는 아무리 발버둥쳐도 아무것도 못바꾸는 현실을 뜻하게 된다.
내가 아무리 최선을 다한들(진인사) 모든 것은 하늘의 뜻(대천명)이라 쓰고 변덕이라 읽는다이야
위의 두 가지 해석은 모두 내가 소망하는 세계관이 아니다.
3. 문장의 올바른 해석
앞에서 말한 두 가지 과장된 해석 사이에 균형이 필요하다.
진인사(盡人事)와 대천명(待天命)을 최고 수준으로 추구해야 한다.
그래야만 문장이 제 힘을 발휘한다.
진인사(盡人事)의 최고 수준은 어떠한 일이라도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대천명(待天命)의 최고 수준은 어떠한 결과라도 수긍하는 것이다.
갑자기 어느 질문이 머리 속을 스칠 것이다.
왜 진인사대천명을 따라야 하는 것인가?
사실 앞에서 말한 잘못된 해석은 이에 대한 대답이었다.
- 최선의 노력을 해야(진인사) 내가 원하는 것을 얻(대천명)을 수 있어!
- 세상의 일(대천명)은이 내 노력 밖(진인사)인 것은 당연한 것이야!
위 대답을 보면 물질적인 것을 얻는다는 것에 굉장한 집착이 있다.
무엇을 얻기 위해 해야하고 무엇을 얻지 못하니까 안해도 된다는 식이다.
4. 왜 진인사대천명을 따라야 하는 것인가?
나는 정신적인 풍요를 얻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살면서 우리는 물질적인 풍요를 추구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먹고 살아야하고 늘 생존을 염두에 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태도와 마음가짐은 정신적 풍요를 해치곤 한다.
이와 관련해 흥미로운 연구를 소개하려고 한다.
Poor concentration: Poverty reduces brainpower needed for navigating other areas of life
Research based at Princeton University found that poverty and all its related concerns require so much mental energy that the poor have less remaining brainpower to devote to other areas of life.
www.princeton.edu
위 연구는 프린스턴 대학교가 주체고 사이언스지에 실릴 만큼 검증이 된 자료다.
연구 주제와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연구 주제: 가난이 지적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가?
- 연구 방법:
- 수확하기 전의 가난한 농부에게 여러가지 인지능력 시험을 보게 한다.
- 수확한 후 풍족해진 농부에게 다시 인지능력 시험을 보게 한다.
연구 결과는 매우 흥미롭다.
수확을 하고나서 농부의 IQ가 13포인트나 증가한 것이다.
5. 나의 생각
가난한 농부가 진인사대천명의 사고방식을 갖게 되면 어떨까.
비록 현실은 가난하더라도 불안으로부터 자유로워져 마음이 편안해질 수 있을까.
이에 대한 후속 연구도 이루어지면 좋겠다.
모두 행복하길
-끝-